K배터리 3사, 전고체·코발트·프리배터리 등 신기술이 총 출동했다. 지난 3월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3' 인기가 높다. 개막 이틀째를 맞은 16일 인터배터리 2023은 관람객과 바이어, 유관 부처 및 기업 관계자들로 혼잡을 이뤘다.
K배터리의 혁신이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
행사 주최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사전 등록 관람객 수는 3만4851명으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됐다. 관람객들의 인기를 끈 곳은 국내 배터리 3사의 부스였다.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의 시선은 루시드 에어 차량에 집중됐다. LG엔솔은 당초 미국의 떠오르는 전기차 기업 루시드 드림의 루시드 에어 차량을 인터배터리서 최초 공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직접 차량을 시승하려는 관람객들이 몰려 한 번 시승을 하기 위해선 10~20분을 기다려야 했다. 이 차량엔 LG엔솔의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LG엔솔 사내기업 쿠루가 개발한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스테이션에도 관람객들이 많았다. 기존 배터리를 생산하는 사업 수준을 넘어 교환 체계를 선보인 것에 대해 관심이 높았다.
볼보와 협력설 삼성SDI, 'FM 일렉트릭' 전시
삼성SDI는 최근 볼보와 협력설을 반증하듯 'FM 일렉트릭'을 전시장 중앙에 배치했다. 볼보의 대형전기트럭 출시는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이 최초다. 이 차량엔 삼성SDI의 고부가가치 배터리인 프라이맥스 배터리가 공급된다. 중량만 44톤에 달하고 완전 적재 상태에서도 300km 주행이 가능하다.
삼성SDI는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국내 처음으로 착공하며 꿈의 배터리 기술에 한 발짝 다가섰다.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 소재와 리튬 음극재로 수명을 개선한 무음극 기술이 특징이다. 삼성SDI는 올해 상반기 중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완공하고 하반기부터 시제품 제작을 시작할 계획이다.
SK온, 제네시스의 전기차 모델 eGV70 전시
SK온 역시 현대차 제네시스의 전기차 모델 eGV70 실차를 전시했다. 더불어 배터리 셀에서 팩 전체로 열을 차단하는 에스팩(S-Pack) 모형을 통해 셀투팩(CTP) 기술을 선보이는 등 자사의 최첨단 기술을 뽐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NCM(니켈·코발트·망간)9+와 코발트 프리 배터리가 배치됐다.
또 각형 배터리 실물 모형과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시제품도 등장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SK온은 예상 시점을 1년 앞당겨 코발트 프리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 삼원계 배터리의 경우 코발트가 없으면 불안정석이 극대화되는데 이런 단점을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점에 대한 의견 종합 정리 (0) | 2023.03.18 |
---|---|
SVB 파산, 골드만삭스의 잘못된 조언 탓? 월스트리트저널 기사 (0) | 2023.03.17 |
5대 은행, 희망 퇴직자에 1인당 5.4억 지급...예대 금리차 덕분? (0) | 2023.03.17 |
뉴욕 스타트업 ‘아모지’ 우성훈 대표, 세계 첫 ‘암모니아 연료 트럭’ (0) | 2023.03.17 |
한국 일본 반도체 소재 갈등 해소? 수출 규제 분쟁 일지 (0) | 2023.03.17 |
댓글